세계 최초 주짓수 AI, Poble을 소개합니다.
- 개발
안녕하세요. Post Black Belt 앱을 만들고 있는 Quartz입니다. 눈 깜짝할 새에 2024년의 마지막 분기로 들어섰네요. 다들 건강히 잘 지내고 계신가요? 저는 올해 새로운 배움들을 흡수하고, 시도하고, 실패하고 그리고 발산하는 것에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습니다. 궁금한 것들이 연쇄적으로 생겨 20권이 넘는 책을 병렬 독서하고,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 속에서 어떤 제품을 무엇을 위해 만들어야 하는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그 산물인 Poble AI의 MVP(Minium Viable Prouduct)를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가장 먼저 여러분께 선보인 기능은 기술 해시태그 자동 생성인데요, 이 기능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활용하면 좋을지에 대해 찬찬히 적어보겠습니다. 그럼 재미있게 읽어주세요.
AI Black Belt 베타 기능

Post Black Belt를 오래 사용하신 분들이라면 언뜻 기억이 나실 듯 합니다. 무수히 많은 AI 모델들이 세상에 공개된 후 저도 간단한 채팅을 구현하여 1년 전 AI Black Belt를 베타 버전으로 출시했습니다. 그러나 당시 거대 모델(LLM)을 주짓수 앱에 활용하기에는 몇 가지 한계점이 있었습니다.
- 주짓수 관련 지식 fine-tuning 혹은 학습이 추가로 필요하다.
- 활용 방법이 너무 포괄적이다.
- 최신 데이터로 업데이트가 되지 않아 더 많은 범위의 개발이 필요하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과연 사용자 분들이 어떤 방식으로 활용하고 싶어하실지 궁금했고, 이 테스트는 다음 방향성을 정하는 데 큰 영감이 되었습니다. (저는 개인적으로 운동이 안될 때 슬픈 마음을 달래는 친구로 활용했습니다 ㅎㅎ)
기술 해시태그
여러분은 어떤 목적으로 Post Black Belt 앱을 사용하고 계신가요? 주짓수 일기에 어떤 내용을 작성하고 계신가요?
- 언제 얼만큼 운동했는지 표기하거나
- 더 나은 수련을 위해 마음을 다잡거나
- 혹은 주짓수를 더 잘하기 위해서 기술을 분류하는
제가 가장 많이 받았던 피드백들은 “기술 카테고리를 중복으로 선택”하거나 “더 자세히 기술을 기록”하고 싶다는 VoC였고, AI 채팅에서도 특정 기술에 대해 질문하는 패턴이 가장 많이 보였습니다. 해당 시기에 이 문제를 바로 해결하면 좋았겠지만 기술 마이그레이션에 소요되는 에너지를 비교하였을 때 기술 해시태그를 새로 구현하는 것이 좋겠다고 판단하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시태그 기능 개발이 오래 걸린 이유는 개인적인 욕심이 작용했기 때문입니다. Post Black Belt에서는 현재 약 150개의 해시태그를 제공하고 있고 필연적으로 더 많아질 예정입니다. 위 사진만 봐도 느끼시겠지만 사용자가 이 기술을 검색하여 일일이 입력하는 과정은 매우 피로하고 비효율적입니다.
Poble AI의 해시태그 자동 생성
“이미 일기 내용으로 작성한 내용인데 왜 직접 찾아야 할까?”
사용자가 작성한 일기를 기반으로 원클릭으로 해시태그를 자동 생성할 수 있을까?라는 생각이 들었고 Open AI의 모델을 활용하여 Poble AI를 구현하게 되었습니다.

올해 제가 집중하고 있는 것 중 하나는 운동 기록을 쉽고 간편하게 하기입니다. 운동 내역을 표기만 하고 싶은 유저를 위해 빠르게 일기를 작성할 수 있는 모달을 만들고, 일기 작성화면을 더 직관적으로 개선하기도 하였습니다.

또한 작성한 해시태그를 클릭하면 바로 검색화면으로 이동하여 관련된 일기들을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이제는 단순한 기능 구현 뿐만 아니라 더 좋은 사용자 경험을 위해 개인적인 욕심을 더 발동시킬 예정입니다.
마치며

이번 기능을 사용해보고 싶을 유저 분들이 계실텐데요, AI API 비용으로 인해 구독 유저 분들께만 오픈해둔 상태입니다. Post Black Belt는 앞으로도 AI를 활용해 더 많은 기능들을 선보일 예정이니 유용하셨다면 구독을 통해 다른 기능들도 경험해보시길 바랍니다.
앱을 잘 사용해주셔서 항상 감사드리며 피드백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알려주시면 더 감사드리겠습니다. 행복한 10월 보내세요!